항생제를 초기에 잘쓰고 먹는것도 규칙적으로 잘먹고 했음에도 항생제가 듣지않는다고 할때 체크해야 할 사항!
항생체지료에 반응하지않으면 왜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는지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치료 실패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 항생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좋아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원인을 점검해야 합니다.
항생제가 들지 않는 원인
1. 감염증으로 진단하고 항생제를 투여했지만 감염증이 아닌 경우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으로 진단하고 항생제 투여하였으나 감염증이 아니기때문에, 발열의 원인-류마티스 질환, 기타 약물 등
2. 감염증이지만 항생제에 듣지 않는 미생물이 원인인 경우
대상균주를 잘못파악한 경우입니다. ex.바이러스 감염증에 항세균 및 항진균제를 투여한 경우
3. 항생제의 선택이 틀린 경우
항생제를 쓰는 것은 맞지만 내성균으로 인한 감염증에 1차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예측한 균은 맞았지만 균 자체가 내성을 가진경우
4. 항생제의 선택은 맞았지만 투여한 항생제가 감염부위에 충분히 도달하지 못한 경우
최소농도수준의 항생제가 존재해야 항생제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내성균이 발생한 경우
처음 투여한 항생제에 듣는 세균은 모두 없어지고, 서서히 사용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이 선택적으로 증식하면 초기에는 치료에 반응하다가 나중에 실패하게 됨
6. 치료시기가 늦은 경우
항생제의 투여 시기가 늦어질수록 치료 효과가 낮아집니다. 항생제는 미생물의 수가 적은 초기에 투여했을때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ex.세균에 의한 균혈증은 적절한 항생제를 쓰더라도 치사율이 20~30%
'제약바이오 정보 > 미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 발현과정 전사 번역 (1) | 2021.04.15 |
---|---|
페니실린 작용기전 내성기전 (0) | 2021.04.07 |
혈액의 구성 - 혈장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과립구 단핵구 림프구 (1) | 2021.03.21 |
항생제 감수성검사 정의과 검사법의 종류 (0) | 2021.03.21 |
클린벤치 Clean bench 사용법 및 주의사항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