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구하고자하는 의약품(게보린정) 내의 카페인농도를 절대검량선법으로 구하는 마지막과정입니다.

 

 

 

검량선작성 및 회귀직선 구하기

 

1.카페인 표준액의 크로마토그램을 구한다

앞서제조된 3가지 표준액을 HPLC로 분석하여 각각의 크로마토그램과 피크테이블을 구합니다

카페인농도 10ppm인 표준액1을 분석하여 보유시간 9.99분의 피크를 얻었으며 이때 피크의 면적은 3200이었습니다.

 

 

 

카페인농도 20ppm인 표준액2를 분석하여 보유시간 10.01분에 피크의 면적 6500이라는 값을 얻었으며

 

 

카페인농도 30ppm인 표준액3을 분석하여 보유시간 10.00분에 피크의면적 9700이라는 값을 얻었습니다

 

농도의 증가에 따라 피크의 면적도 비례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같은 카페인을 분석했는데 보유시간이 조금씩 다르게 나온것은 거의 같다고 봐야합니다. 분석을 진행하다보면 여러가지 변수로 인해 이동상의 유속 또는 칼럼의 압력 등이 조금씩 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보유시간이 약간씩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정도의 차이라면 같은 보유시간으로 보면 됩니다. 또 한가지 지금 피크의 면적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피크의 높이를 대상으로 정량분석하여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크의 높이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피크테이블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량시에는 면적값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2.다음 식을 이용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다

이 식을 이용해 A값과 B값을 구하면 직선의 식(y=ax+b or y=ax-b)을 구할 수 있습니다. a 값을 구하려면 아래 주어진 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빈칸을 우선 채워 넣어야 합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값들은 피크의 면적과 농도를 나타내며 위의 카페인 표준액을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에서 얻어진 자료입니다. X제곱으로 표시된 열은 x값을 제곱하여 채우면 되고 x*y로 표시된 열은 피크면적과 농도를 곱한값입니다.

맨 밑에 각 열들의 표시된 값들을 전부 더하면 시그마값이 되는데 그것을 채워넣으면 됩니다.

 

이렇게 구한 값들을 식에 대입해서 구했더니 y=325x-33.33333이라는 회귀직선식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기기에 나오거나 엑셀로 구할 수 있으니 식에대해 큰 부담은 느끼지 않으셔도 됩니다)

 

 

 

 

 

 

 

 

 

 

게보린정 시료 중 카페인분석

 

마지막과정입니다. 표준액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y-325x-33.3333회귀직선을 구하였습니다. 이제 게보린 시료용액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크로마토그램과 피크테이블을 얻어야합니다. 시료용액을  분석하면 피크가 몇개가 나올까요? 3개이상이나옵니다. 절대검량선법 분석실험 과정 2포스팅에서 검액을 제조할때 알아본 게보린정의 성분/함량에서  아세트아미노펜과 이소프로필안티피린 그리고 무수카페인성분이 포함되어있는것을 확인했었습니다. 

 

 

 

 

 

그래서 크로마토그램을 구하면 이렇게 3가지혹은 이상의 크로마토그램이 나타나며 오른쪽에는 그에따른 피크테이블을 나타내었습니다. 피크3개중 2번째 피크의 보유시간이 10.1분으로 나왔으니 표준액의 보유시간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2번째 피크가 카페인 성분입니다. 두번째 피크의 면적을 회귀직선의 y값에 대입해서 x값에 풀어봅니다.

 

 

Y=325X-33.3333

8090 =(325*X)-33.3333

(325*X)=8090+33.3333

 

X=8123.3333/325 

  =24.99ppm

 

 

그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x값 즉 게보린시료용액의 카페인농도 값은 24.99ppm으로 정량되었습니다

절대검량선법 분석실험 과정 2 에서 게보린정의 시료용액을 만드는 과정 속 시료의 카페인농도는 25ppm이었습니다

분석하여 얻어진 정량값은 24.99ppm으로 아주 정확한 결과값을 얻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절대검량선법으로 특정성분의 양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절대 검량선법 정리

  1. 분석조건을 확인하고 맞춘다
  2. 이동상용액을 제조한다(탈기과정거쳐서)
  3. 적당한 농도로 표준액을 3가지이상 제조 후 분석실시
  4. 검량선과 회귀직선을 구한다
  5. 시료용액을 제조한 후 분석하여 크로마토그램과 피크테이블을 얻는다
  6. 얻어진 시료용액의 피크면적을 회귀직선식에 대입하여 풀어준다
  7. 원하는 성분(시료용액)의 정량분석 끝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