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마토그래피 파라미터 Parameter 운전인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크로마토그래피 파라미터는 1.용량인자 2.선택성(=분리인자) 3.분리도 가 있습니다. 이것을 알기위해서는 크로마토그램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기호를 알아야합니다. 그것들을 먼저 알아보고 파라미터에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그림은 어떤 혼합시료를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줍니다 피크가 2개가 보이니 2가지물질을 혼합한성분의 크로마토그램입니다. 맨왼쪽의 조그마한 것은 피크가 아닌가요? 라고생각할 수 있겠죠 그것은 피크가 아닙니다. 지금 보여주는 크로마토그램에는 여러가지 기호와 식들이 암호처럼 나타나게 될것이지만 하나씩 살펴보며 알아가보면 어렵지않습니다.

 

  • 먼저 젤 왼쪽에 inject는 시료를 주입한 시점을 나타냅니다.
  • 화면에보이는 굵은 파란색선은 두가지성분의 피크 나타내줍니다.

 

  • 시료성분을 나타내는 피크의 폭도 보여집니다. 첫번째 성분 피크의 폭은 w1 두번째 성분 피크의 폭은 w2로 나타냅니다.
  • 피크 폭의 단위는 시간단위(초 or 분)

  • 맨왼쪽아래에 있는 이것은 성분피크가 아닙니다
  • 이 파형은 시료가 주입된 직후부터 이동상이 이동하여 검출기에 도착했을때 검출기에 포착된 신호를 나타냅니다 이동상의 머무름시간이라고보면 됩니다 기호는 t0로 표시합니다(GC의 경우 잘 나타나고 LC는 잘안나타납니다)

 

  • 첫번째 피크를 대상으로도 살펴보면 첫번째피크 꼭지점에서 선을 긋고 시료주입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면 첫번째 성분의 보유시간이 나타납니다. 이를 첫번째성분의 절대보유시간(머무름시간)이라고 합니다 이를 Tr(1)으로 표시합니다
  • 절대보유시간에서 이동상의보유시간을 빼주어 보정을 해주면 첫번째물질의 실질적인 보유시간 즉, 보정을 한 보유시간이 되고 이것을 T'r(1)으로 표시합니다 구하는 식은 Tr(1)-t0 입니다

 

  • 두번째 피크도 마찬가지로 tr(2)는 절대보유시간  입니다
  • 보정을 한 보유시간도 t'r(2) 입니다

 

  • 전체 크로마토그램을 보면 두개의 피크가 확실하게 분리된것을 알수 있습니다
  • 여기서 두 피크사이의 시간은 지금나타나는 부분입니다. 
  • T'r2-T'r1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용량인자(=크기인자, k')

용량인자는 다음의 식으로 표시됩니다. 첫번째 용량인자 k'는 첫번째 물질의 보정을 한 보유시간 나누기 이동상의 보유시간입니다. 즉, 보정을 한 보유시간과 이동상의 보유시간의 비 입니다. 만일 두번째 물질의 용량인자를 구할려면 어떻게 할까요? 지금 보이는 식중에서 분자에 T'r1 대신에 T'r2 값을 대입하면 됩니다.

 

 

 

 

선택성(=분리인자, α)

두개의 인접한 피크간에 분리선택성을 나타내며 칼럼의 성질에따라 결정됩니다. 선택성이란 두 성분의 보정한 머무름시간의 비를 나타냅니다

 

 

 

 

분리도(Rs)

분리도는 크로마토그램에서 피크들 사이의 보유시간과 각각의 피크 폭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분리도의 식은 두피크간의 시간차 d를 두배한값을 각각의 피크폭을 더한것을 나눈값으로 정의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