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을 아시려면 앞서 월급쟁이들이 어떻게 세금을 뜯기는지에 대해 꼭 알아야합니다.
내 월급의 구조
월급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를 세금으로 내야하는데요 회사에서 세금을 미리 제외하고 월급을 줍니다. 따라서 은행통장에 찍히는 돈은 바로 위의 파란색 부분만 받게 되는건데요.
아래의 주황색 네모박스로 된 세금 부분을 월마다 정부가 정해둔 세율로 4대보험+소득세를 냅니다. 여기서 돌려받을 수 있는 환급금액이 바로 소득세부분입니다.
소득세
소득세는 월마다 월급에서 까여서 저절로 내는건데요 어떤기준으로 내는걸까요? 바로 국가에서 정해둔 세율표가 있습니다(본인의 세율을 계산해보고싶다면 아래 링크참조) 그 기준에 따라 각자 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하지만 또 개인마다 소득세를 감면해주는 기준이 달라 위의 그림처럼 내가 12개월동안 낸 소득세가 나중에 내 전체연봉에서 세금공제 받은거보다 많다면 환급을 받게 됩니다. 이같이 환급을 받을지 말지 확인하는 작업을 연말정산이라고합니다
근로소득 세율표 계산법 알려드릴게요
근로소득 세율표 계산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내 연봉과 실수령액이 다른 이유 첫번째 4대보험 그리고 근로소득세인데요 이 문서를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근로소득 세율표 계산법을 알아
bioman.tistory.com
연말정산
월 300만원을 받는 직장인(자녀없고 결혼x)이 있다면 소득세는 93,330원 입니다. 12개월을 93,330원씩 냈다면 1,119,960원 이 됩니다. 1,119,960원을 이제 나의 전체연봉에서 공제받을 사항을 점검하여 연말정산을 하고 연말정산한 금액보다 더 많이 냈다면 환급을 받게되고 적게 냈다면 세금을 더 내야합니다. 그럼 연말정산 프로세스를 보시죠
연말정산 프로세스
연말정산은 크게 이렇게 네가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월마다 낸 내 소득세가 이 과정을 거친 금액보다 많다면 환급을 받고 아니라면 세금을 더 내야합니다. 이과정에서 밑줄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금을 받을수 있는냐 없느냐가 결정되는 사항입니다.
①소득공제★★★★★(엄청중요)
소득공제란 전체연봉에서 공제가 되는 사항입니다. 간단히 말해 직장인이 받게되는 연봉에 대해 이것저것 소득공제를 하게되면 남는 최종금액을 과세표준이라고 하는데요 이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기때문에 아주 중요한 사항입니다
만약 4천7백만원을 받는 사람은 세율이 24%이지만 소득공제를 통해 4천6백만원 이하가 되면 세율을 15%적용 받게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12,000,000원~46,000,000원의 과세표준에서 세율 15%를 받습니다. 같은세율이라도 과세표준을 최대한 낮출수록 내게되는 세금은 줄어드니까 소득공제 참 중요하죠!
②과세표준 x 세율 = 산출세액
소득공제 후 만약 산출세액이 20,000,000원이 나왔다면 20,000,000 x 15% = 3,000,000원입니다 여기서 누진공제를 차감하면 1,920,000원의 산출세액이 나타납니다.
③세액공제★★★★(중요)
세액공제라 간단히 말해 내야할 세금 자체를 줄여주는것입니다. 소득공제에서는 세금매기는 대상 금액을 줄여주고 세액공제에서는 세금 자체를 줄여주는 것 그것만 기억하세요:)
세액을 공제해주는 부분은 많습니다 중소기업청년,어르신 세액감면, 연금저축세액공제,보장성보험, 의료비,교육비 등등
여러사항이 많습니다만 이런세액공제 항목이 없어도 기분상하지말라고 정부에서 일괄적으로 13만원 공제를 해줍니다.
④결정세액
최종적으로 확정된 세금입니다. 이제 여기서 1년간 매월 월급날 미리 냈던 소득세를 빼는 정산을 통해 환급여부를 판단하면됩니다.
결정세액이 0원 이나올경우 이때까지 12개월동안 낸 소득세 전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만약 소득세를 1,119,960원냈다면 이보다 작은금액으로 결정세액이 나오면 환급을 받게되고 이보다 많다면 세금을 더 내야하는 것입니다.
결국 연말정산을 통해 받은 환급금은 공돈이아닌 신용,체크카드로 이것저것 지출하고,보험료 열심히 부어가며 얻은 결과물입니다. 힘들게 벌어들인만큼 소중한 연말정산 환급금이니 탕진은 주의하는게 어떨까요?ㅎㅎㅎ
연말정산에 대해 공유해드렸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애대해 꼭 기억해두시고 공제사항도 자신에게 맞는것을 여러가지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다른 정보도 필요하시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하트(공감),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돈되는 정보 > 세금절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소득 세율표 계산법 알려드릴게요 (0) | 2021.07.22 |
---|---|
연봉과 실수령액 다른이유 초딩도 알기쉽게 알려드림 (0) | 2021.07.22 |